IT&컴퓨터/IT 인터넷

초보를 위한 채굴 이야기....

누한 2017. 12. 27. 01:48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채굴에 대한 소개 입니다.


이번글은 제가 처음에 생각한 내용으로 정리를 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에 왜 이렇게 유식한 분들과 내마음을 잘 알고 있는 분들이 있는지.....


제가 생각한 내용과 거의 유사하게 이미 정리된 내용이 있어서 내용을 공유 합니다.


해당 내용의 상세한 내용은 아래URL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steemit.com/kr/@virus707/2t2wcj-0


0

코인의 종류가 천여개가 넘어가고 있지만 그 시작은 비트코인 입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암호화화폐라는 말이 가지는 의미 처럼 "암호해독에 대한 보상" 이라는 말이 제일 비슷할겁니다.

(다만 이런 보상체계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타고 오는건데....개인적인 생각에 블록체인이알는 말에 빠지면 가상화페에서 돈 못법니다...그래서 블록체인은 그냥 내비두고 진행하겠습니다.)

수학문제를 풀고 보상을 받는다? 암호를 풀고 보상을 받는다!!

1

블록이 생성이고 보상이 발생하게되고 그것을 가상화폐라고 부르면서 가치가 부여되기 시작합니다. 그 과정은 화폐의 성격과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가치가 발생하자 사람들은 점점 문제를 풀고 비트코인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암호를 풀기 위해서 계속 모이게 되고 예전에는 CPU로도 풀수있던 문제가 불가능한 수준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비유하자면 암호문제가 만들어질때마다 바로 족족 풀어벌일정도로 경쟁이 치열해지기 시작했고 이제는 그걸 누가 더 빨리 많이 찾아내는것이 관건이 된겁니다.

네트워크 해시

이런 문제를 푸는 능력은 결국 처리 속도와 연결이 되었고 이를 네트워크 해시라고 표현했습니다.(코인마다 다릅니다만 그냥 해시로 퉁치고갑니다)

그리고 CPU는 불가능해지고 GPU,ASIC 연산장치들이 등장을 합니다.

CPU GPU ASIC은 채굴기(worker) 보상을 받는 행위는 채굴(MINING) 이라고 합니다.

2

예전에는 운이 좋아서 CPU로도 채굴을 하기도했습니다. 그리고 채굴을 하면 블록을 전부다 보상받았죠.

로또같은 행운이라고 해야할까요?

이런 구조에 "재수가없는 사람들""생전로또가 안되는사람들"이 이의를 제기하고 이렇게 이렇게 이야길합니다.

'네트워크해시를 모아서 채굴을 한 다음에 나누자!' 라고요...이것이 '풀'의 시작입니다.

비트코인의 대표적인 풀은 '앤트풀' 이더리움의 대표적인 풀은 "마이닝풀허브"입니다.(심지어 풀의 허브임!)

이 풀에 컴퓨터를 붙이고 풀에서 나오는 보상을 기여도 만큼 나누는게 되는것이죠^^
(지금은 난이도가 너무 올라서 풀로 안하고 개인이 채굴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반응형